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무버블 타입(Movable Type)' 설치에 필요한 사항들
    블로그 하우투 2005. 2. 28. 15:36
    반응형
    어떤 초등학교 선생님께서 한미르 블로그와 같은 서비스가 아닌, 무버블 타입과 같은 독자적인 블로그 시스템을 운영하고 싶다고 이메일을 보내오셨습니다. 이와 같은 궁금증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또 계실 것 같아 이 곳에도 같은 내용을 올립니다.

    나름대로 필요한 기초적인 사항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만 세밀하게 모두 짚어낸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이 글을 보시고 추가적으로 필요하거나 필요없는 내용이 들어가 있으면 코멘트에 지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안녕하세요, OOO 선생님.
    답장이 조금 늦었습니다. 만족하실만한 답장이 될 지 모르겠습니다만...
    일단 무버블 타입을 이용한 블로그를 운영하시기 위해서 필요한 사항들 위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개인 도메인 네임 등록


    신청 가능한 도메인 네임에는 국내 도메인(.co.kr, .pe.kr 등)과 국제 도메인(.com, .net, .org 등)이 있습니다.

    등록비용은 국내 도메인인 co.kr이 매년 22,000원, pe.kr이 매년 11,000원이고, 국제 도메인은 매년 9,900원부터 22,000원까지 등록대행업체별로 다양합니다.

    2차 도메인네임을 이용한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도 있습니다.
    2차 도메인네임이란 예를 들면, A.cafe24.com, B.cafe24.com 과 같이 도메인 앞부분의 주소(A, B)만 자신이 원하는 것으로 사용 가능한 것입니다. 이 경우에는 도메인 등록 비용을 아낄 수 있습니다.

    2. 호스팅 서비스 신청


    도메인 네임을 연결하고 무버블 타입을 설치할 호스팅 서비스를 신청해야 합니다. 블로그가 서비스될 서버 공간을 임대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호스팅 업체가 워낙 많고 서비스별로 가격도 천차만별(한달에 몇 천원부터 몇 십만원까지)이라 어느 곳을 딱 정해서 말씀드리가가 그렇네요. 무버블 타입 운영을 위한 필수 사양은 PHP, Perl, MySQL 등의 데이터베이스(선택사항)를 지원해야 한다는 것입니다.(국내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게시판인 제로보드를 설치할 수 있는 환경과 동일합니다이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리눅스나 유닉스로 운영되고 있는 호스팅 서비스는 대부분 위의 사양을 지원합니다. (다만 MySQL 같은 데이터베이스의 경우는 추가비용을 받는 곳도 있습니다.)

    업체 선정의 기준은 너무 영세한 업체는 서비스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비스 사용료가 너무 쌀 경우 꼼꼼이 따져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고객지원이 잘되는 곳이 물론 좋겠죠.

    3. FTP, Telnet 기초 지식


    자신의 호스팅 서비스에 파일 등을 업로드, 다운로드 하는 방법인 FTP 프로그램 사용 지식이 필요합니다. 전용 프로그램들이 많이 있으며 사용방법은 간단합니다.

    역시 호스팅 서비스에 Shell 방식(명령어 직접 입력)으로 접속하게 해주는 방법인 Telent 사용 지식이 필요합니다. 사용빈도는 적으며 FTP 프로그램으로 해결이 불가능한 상황일 때 사용하게 됩니다. Telnet 사용방법을 알면 더욱 수월하게 설치 및 운영을 할 수 있습니다.

    4. 유닉스 명령어 기초 지식


    호스팅 서버에 접속해서 무버블 타입을 설치하려면 기초적인 유닉스 지식이 필요합니다. 매뉴얼을 보시며 할 수도 있지만 기초 지식이 없으면 부딪히는 부분이 좀 많습니다. 그래봐야 숙지해야 할 유닉스 명령어는 10개 내외일 것입니다.

    인터넷 상에 이 부분과 관련된 자료가 꽤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번 기회에 익혀두시면 파워유저로 가시는 길이 멀지 않을 것입니다. WIK의 포럼을 통해 기존 회원분들께 막히는 부분을 질문하시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

    5. 디자인 관련 - HTML과 Style Sheet (CSS) 코딩 지식


    무버블 타입에는 기본적인 디자인 템플릿(기본양식)이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만, 본인의 입맛에 맞도록 블로그 디자인을 꾸미려면 HTML과 CSS의 코딩 지식이 필요합니다.

    처음에는 기본으로 제공된 HTML, CSS 템플릿을 조금조금씩 수정해 가면서 감을 익히는 것도 좋습니다. 저도 CSS 지식이 별로 없던 터여서 처음에는 좀 헤멨습니다만, 이제 웬만큼 다 파악이 되었습니다. 그만큼 어렵지 않다는 거겠죠. ^^;


    많은 분들이 무버블 타입과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가 이와 같은 기술적 장벽이 있기 때문입니다. 사실 한미르 블로그와 같은 중앙 운영식 서비스는 사용하기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긴 합니다만, 지나친 요약식 서비스라 조만간 블로거들의 넘쳐나는 욕구를 모두 충족시키지는 못할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서비스 오픈이 임박한 TypePad라는 서비스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무버블 타입의 개발사에서 한미르 블로그와 같은 중앙 운영식 서비스로 개발한 것입니다. 무버블 타입 대부분의 기능에 새로운 기능들이 많이 추가되었고, 초보자들도 사용이 편리하도록 만들고 있다고 합니다. 미국의 서비스이긴 하지만 기존의 예를 봐서 한글을 이용해 블로그를 운영하는 데 전혀 문제가 없을 겁니다. 그리고, 자신의 도메인 네임으로 운영하는 방법도 지원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O 선생님께서 위의 기술적인 사항들의 해결이 가능하시다면 한번 시도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하지만 시간적 여유가 없으시다면 조금 기다리셨다가 TypePad 서비스를 이용하시는 것도 한 방법 같습니다.

    한 번 보시고 더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면 또 연락 주십시오.

    안녕히 계세요.

    출처:호찬점넷
    반응형

    '블로그 하우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검색엔진 리스트  (0) 2005.02.28
    인터넷은 지금 ''RSS 혁명중''  (0) 2005.02.28
    RSS란?  (0) 2005.02.28
    이란, "이적행위 했다" 블로거에 14년형  (0) 2005.02.28
    블러그에 대한 개념 및 정리  (0) 2005.02.28

    댓글

*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