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글쓰기 깊이인가? 양인가?
결국 내공이다.
사람들은 자신에게 도움 되는 글을 찾는다. 이리저리 검색하고 찾아 봐도 도움 되지 않는 글은 그냥 스킵한다. 아무리 많은 글을 쓴다해도 그 글의 깊이가 없으면 많은 독자를 얻기 어렵다. 어쩌다 한 번 관심을 갖는 포스팅이 됐다 하더라도 그건 잠시 뿐이다. 글쓰기 훈련을 위해선 많은 글을 써 보는 것이 당연하다. 그래야 어떻게 쓰는지 어떻게 반응하는지 어떻게 정리하는지를 경험을 통해 알 수 있으니까.
오늘 자주 들락거리는 카페에 글이 하나 올라왔다. 회원이 약 30만명이 넘는다. 부동산 관련 카페인데 요즘 부동산에 대해 관심 들이 많으니 관련 글 들이 많이 올라온다. 대부분 기사나 간단한 개인적인 생각이나 홍보, 광고성 글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어쩌나 우연히 한 두개 글을 읽다보면 내공이 깊은 글을 접하기도 한다.
그럼, 사람들은 그 사람이 글 한개만 썼을리는 없을 것이고 과거에 썼던 글을 한번 찾아본다. 그 글 또한 깊이가 있는 글이라고 느껴지면 사람들은 그 사람의 글은 나에게 도움이 되겠구나라고 생각하고 정기적인 글을 받아 보려고 알림 설정을 해 둔다. 어쩌면 알림 설정을 해 달라고 하는 것 보다 스스로 읽어보고 말 하지 않더라도 도움이 될 것 같아 알림 설정을 해 놓는 것은 조금 결이 다른 차원이야기다. 순식간에 300명이 읽음으로 나온다. 새로고침을 하나 2-3초 사이에 천명이 넘게 읽었다. 대단하다. 필자도 읽어 보았지만 진실성 있게 담당하게 글의 내용에서 깊이가 나온다.
다시 돌아가서, 글은 진실성 있게 쓰고, 가치 있는 글을 쓰는 것이 중요하다. 예전에는 매체 채널이 다양화 되지 않았고 자신의 글을 알릴 수 있는 수단이 그리 많지 않아 많은 양의 글을 쓰다가 한 두개 공감을 얻고 알리게 되면 그때부터 신중을 기해 깊이 있는 글을 쓰려고 했다.
요즘은 그렇지 않다. 워낙 SNS가 발달돼 있고 자신이 읽어 보고 좋은 글이다 싶으면 퍼 나르고 싶은게 인간 심리다. 좋은 정보는 더 많이 공유하고 싶은 마음이고 스스로에게도 좋은 글 정도는 볼 줄 아는 안목이 있다는 사실을 보여 주고 싶은 인간 기저의 심리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소위말하면 자랑하고 싶은 욕구는 누구에게나 있다.
좋은 글을 쓰자. 깊이 있는 글을 쓰자. 누구에게 보여주기 위한 글을 쓰면 깊이 있고 내공 있는 글을 쓸 수 없다. 잠시잠깐 관심만 끌 수 있는 글은 신뢰성을 주기 어렵다. 그들에 맞는 글을 쓰는 것이 최선이지만 때론 나만의 글을 쓰는 것이 더 중요하다 생각한다.
사람의 생각은 모두 다르다. 다양성을 존중해야 한다. 백종원의 골목식당에서 이야기 하는 것이 있다.
식당의 주인은 사장님이다. 손님의 입맛은 다양한다. 어떤 사람은 음식이 맛있다고 하고 어떤 사람은 음식이 맛이 없다고 한다. 다양한 입맛을 가졌기 때문에 맛이라는 것은 주관적이다. 사장이 최적의 맛을 찾아내면 그 맛을 사장이 지켜 나가야 한다. 그래야 한결 같은 맛이 유지가 된다. 그 맛을 잃지마라.
누구나 쓸 수 있는 글이라면 팬덤을 형성되지 않는다.
글쓰는 양도 중요하지만 서두르지 않고 글 하나 하나를 잘 써 나간다면 온라인 상에서 수 많은 사람들이 읽어 보고 정말 중요한 가치나 깊이 그리고 내공이 있는 글이면 어떻게든 드러나고 퍼 날라 갈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심리작용이기 때문에 기법도 기술도 아니다. 누구나 그것을 알지만 너무나 빠르게 다가가고 싶고, 급한 마음 때문에 기본적인 작용원리를 건너 뛴다. 대부분 오래가지 못하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지속적이고 팬덤까지 형성하려는 글을 쓰려면 깊이 있고 내공있는 글을 타인의 눈치를 보지 않고 꾸준히 성실하게 포스팅 하는 것이다. @블하투.